korbit 리서치를 통해 디파이의 단기 전망과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자
📋 TL;DR
📍디파이 단기 전망은 부정적이지만, 디파이의 초기 성공으로 소프트웨어가 기존 아날로그 금융 파이프라인을 대체할 것이라는 사실이 분명해짐
📍디파이의 보이지 않는 혁명의 특징은 운영비의 공유, 금융 서비스의 내재화 및 풍부한 시장 유동성 등 거시적, 산업적 변화를 수반함
📍가상자산의 분산성으로 유저들은 국가의 권력을 견제할 수 있으며 실시간 검증이 가능하다는 특성 덕분에 디파이는 국가별 규제 기준을 준수할 수 있음
🖋 내용 요약
1️⃣ 지난 2년간 가상자산 시장 호황의 시작과 끝에는 디파이가 있었음
디파이의 목표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글로벌 경제를 구축하는 것
2️⃣ 최근 주요 스테이블 코인으로 꼽혔던 테라 USD(UST)의 뱅크런 직후 며칠만헤 280억달러의 자금이 증발하면서 디파이는 다시 주목을 받게 되었으며 엄격한 규제가 생겨날 가능성이 높음
3️⃣ 소프트웨어는 거의 모든 산업을 조용히 변화시키고 있었지만, 오늘까지도 금융 산업은 며칠씩 소요되는 결제 처리와 주말 서비스 다운 및 값비싼 중개 수수료 등으로 느리고 비대한 조직으로 남아있음
4️⃣ 맥킨지의 추정치에 따르면 금융 중개업자는 연간 5조 5천억달러의 수익을 창출하며 이는 경제적 관점에서 운영비에 해당함
5️⃣ 블록체인은 금융 시장의 창출 및 유지 비용을 금융 서비스 산업이 아닌 네트워크 사용자들에게 할당함
디파이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이러한 비용을 재분배하는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개인과 기업의 비용을 몇 배나 줄일 수 있음
6️⃣ 유니스왑과 연 파이낸스와 같은 프로토콜들은 약간의 독창성과 기존 인건비의 일부만으로 복잡한 금융 시스템을 얼마나 단순하고 자동화된 프로세스로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줌
7️⃣ 인터넷이 기업에게 고객과 직접 소통하는 채널을 제공했듯 디파이는 기업이 유통 관계를 최소화하거나 없애고 소비자에게 직접 제품을 판매하는 관계를 만들어 줄 수 있음
NFT는 영수증의 온체인화 및 할인 및 교차 판매의 자격 증명 역할을 할 수 있음
8️⃣ 국가들은 10년 이내에 CBDC등을 출시할 가능성이 높으며, 모든 금융시장은 디파이 내에서 적은 단위에서도 효율적인 자본 배분을 가능하게 함
9️⃣ ZK(영지식) 기술은 초기 단계지만 기업이 중요한 데이터와 민감한 정보를 보존하며 공개 원장을 활용하도록 획기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 규제 시기와 관련된 세부 사항은 여전히 모호하지만 규제 감독과 자유 시장 사이의 타협으로 디파이에 대한 감사 및 리스크 평가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며 ZK 기술은 기업이 민감한 내부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도 준법 여부를 증명할 수 있도록 해줄것
코인으로 경제적 졸업을 꿈꾸는 일갬이의 텔레그램 채널에서는
크립토 최신 뉴스 및 리서치 아티클 요약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