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7

[Solend SLND1 무효화 및 투표 시간 연장 투표 통과]

SLDN 1 무효화 및 투표 시간 연장 투표가 통과(466,043/1,000,000)되었습니다. SLDN 1 내용 - 메인 풀에서 대출 물량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특정 대형 고래 계좌에 기존 담보 비율보다 높은 증거금 비율인 35% 적용 - Solend 팀이 계정 소유자와 연락이 닿지 않는 경우, Solend Labs는 고래의 계정을 일시적으로 제어하여 시장 혼란을 방지하고 OTC에서 청산을 실행 SLDN 2 내용 - SLDN 1 투표 무효화 - 거버넌스 투표 시간을 1일로 연장 - 계정을 인수할 비상 권한을 포함하지 않는 새로운 제안에 대한 작업 투표 마감 1분을 남겨놓고 466,043표에서 1,480,264표로 통과 되었습니다. 코인으로 경제적 졸업을 꿈꾸는 일갬이의 텔레그램 채널에서는 크립토 최..

카테고리 없음 2022.06.29

[시냅스 (Synapse)에 관해 알아보다]

DeSpread Medium Earl님의 포스팅을 기반으로 요약 및 정리하였습니다. 📋 TL; DR 📍체인 간 자산 이동에서는 브릿지가 필요하나, 서로 다른 인프라와 메시징 기준으로 여러 문제가 존재함 📍시냅스는 크로스 체인 AMM과 xAsset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 📍매력적인 사업 구조이나 유동성 파편화와 $SYN 토큰 인플레 문제 해결 필요 🖋 내용 요약 1️⃣ 왜 브릿지가 필요한가? 다양한 네이티브 체인의 등장으로 각 체인은 유동성을 공수해오기 위해 각자의 거버넌스 토큰을 미끼로 자산을 확보중이며, 시냅스, 웜홀 멀티체인 등 다양한 브릿징 프로토콜이 등장함 체인끼리 서로 다른 인프라와 메시징 기준으로 시간, 유동성, 가스비, 등 다양한 문제가 있음 2️⃣ 시냅스 네트워크 작동 방식 - 크로스 체인 ..

카테고리 없음 2022.06.29

[토크노믹스를 생각하다]

DeSpread Medium Earl님의 포스팅을 기반으로 요약 및 정리하였습니다. 📋 TL; DR 📍암호 화폐의 가치 평가에는 펀더멘탈보다 내러티브가 더 많은 영향을 끼침 📍매수자가 더 많을 이유를 찾기 위해서 토크노믹스와 실제 사용처를 봐야함 📍$SUSHI, $GMX, $JOE 케이스스터디 🖋 내용 요약 1️⃣ 암호화폐의 가치 평가 암호화폐는 시장 상황에 따라 순이익이 크게 요동치며, 토큰 인센티브를 이용하여 매출을 인위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음 또한 토큰의 가치가 수익성 지표가 아닌 내러티브/체인 여부/유저 수/ 트랜잭션 수 등에 의존하여 가치 평가가 곤란함 2️⃣ 토크노믹스와 실제 사용처 토큰 가격 상승에 대한 예측을 위해 토큰 공급 매커니즘, 현재 시총 및 기대 시총, 토큰 거래량 혹은 수수료 수..

카테고리 없음 2022.06.29

클레이튼 관계자, 클레이튼 디파이 생태계와 KLAY TVL 지속적으로 성장중]

📋 TL; DR 📍클레이튼 관계자의 트위터 글 업로드 📍유저들이 잘못된 부분 지적 📍관계자가 반박하며 커뮤니티에서 유저들과 논쟁 🖋내용 요약 1️⃣ 클레이튼 관계자가 트위터에 클레이튼의 디파이 생태계와 KLAY TVL은 한 달만에 거의 50% 증가하였다는 글을 올림 2️⃣ 해당 자료는 클레이튼 TVL을 클레이 가격으로 나눈 수치로, 디파이 생태계 혹은 KLAY TVL의 증가와 무관함 3️⃣ 해당 수치가 증가한 배경은 디파이 TVL에는 스테이블 토큰들과 기타 토큰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KLAY 하락분이 크기 때문 4️⃣ 디파이 생태계 성장 주장을 하려면, 위의 자료가 아니라 디파이 생태계에 KLAY TVL(가치, 수량X)이 증가하는 자료를 근거로 들어야 함 🖊Comment 주장하려는 바는 이해가는..

카테고리 없음 2022.06.29

[Polygon 시리즈]#1: Polygon PoS — Mass Adoption을 향한 여정의 시작

100y님의 a41 Polygon 시리즈 Medium 포스팅을 기반으로 요약 및 정리하였습니다. 📋 TL;DR 📍블록체인 대중화를 위해서는 트릴레마 해결이 필요함. 📍폴리곤은 모듈러 블록체인 진영에서 다양한 프로덕트를 빌딩중. 📍폴리곤 PoS는 디파이 섬머 이후 확장성에 대한 수요 및 시장 상황과 맞물려 폭발적으로 성장. 🖋 내용 요약 1️⃣ 블록체인 트릴레마란 탈중앙성, 보안성, 확장성 중 2개만 충족할 수 있고, 3개를 모두 충족하기엔 매우 어렵다는 블록체인의 난제임. 이더리움은 탈중앙성 및 보안성에 중점을 주어 확장성이 매우 낮지만 확장성을 충족하게 되려면 탈중앙성 혹은 보안성의 큰 희생이 필요함. 2️⃣ 현재 블록체인 트릴레마를 해결하는 방식은 크게 기존 모놀리스틱 블록체인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

카테고리 없음 2022.06.29

[Xangle : 위믹스 메인넷 성공을 위해선, 확실한 게임 콘텐츠가 필요]

Xangle Original의 TraceØ님 아티클을 요약 및 정리한 글입니다. 📋 TL;DR 📍6/15 Wemix 3.0 쇼케이스에서 위믹스플레이, 나일, 위믹스 디파이 소개. 📍메인넷&플레이 출시는 퍼블리셔, 플랫폼으로 비즈니스 모델 확장 📍메인넷 도입 시 개발자 수급 및 블록체인 생태계 고립 우려 📍성공을 위해서는 위믹스 게임이 많은 수의 유저를 만들어 내는것이 중요. 🖋 내용 요약 1️⃣ 상대적으로 중앙화 된 SPoA 컨센서스 메커니즘 채택으로 노드 수가 총 40개로 제한되어 낮은 분산화가 단점. 자체 메인넷 출시로 인해 다른 메인넷으로부터 다소 고립될 것으로 예상되며 생태계 기반을 만들어야 하는 만큼 리소스가 많이 필요함. 2️⃣ 위믹스 달러는 법정화폐와 USDC 100% 담보형으로 같은 가치를..

카테고리 없음 2022.06.29

[새로운 웹의 시대 : Web3는 우리에게 희망일까?]

DSRV Medium의 글을 요약, 정리하였습니다. 📋 TL; DR 📍인터넷은 이제 '읽기, 쓰기, 소유'(웹3.0)으로의 도약을 앞두고 있음. 📍웹2에서 소수의 거대 조직에 사람들의 정보가 집중되기 시작. 📍정보에 대한 주권을 이용자에게 온전히 부여하겠다는 것이 웹3의 출발점. 🖋 내용 요약 1️⃣일방적으로 주어지는 정보를 소비하는 웹1에서 2000년대 중반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형태인 웹2로 발전함. 하지만 소수의 거대 조직에 사람들의 정보가 집중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서비스 이용을 위해 자신의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구조 탄생. 2️⃣웹3는 개인의 데이터 및 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보장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생태계 구성원들에게 기회와 힘이 온전히 분배되는 것을 목표로 함...

카테고리 없음 2022.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