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토 시장의 무위험 수익률에 관하여]
DeSpread Medium Earl님의 포스팅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내용 요약
1️⃣ 위험이 높아질 수록 요구 수익률은 당연히 높아야 마땅하며, 전통 자산 시장에서는 무위험 수익률로서, 미국 10년 국채 수익률이 종종 사용됩니다.
2️⃣ Defi에서 바닥으로 잡을 수 있는 몇 종류의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 CeFi USD 스테이블 코인 수익률
- DeFi USD 스테이블 코인 수익률
- 선물 프리미엄 수익률
- ETH2 스테이킹 일드 (약 4%)
3️⃣ 위험 프리미엄의 적용
케냐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기업이라면 자본 비용의 시작점은 미국 국채 수익률이 아닌, 케냐 국채 수익률이 됩니다.
마찬가지로 AVAX의 무위험 수익률은 ETH2 스테이킹 수익률이 아닌, AVAX의 위험 프리미엄을 더한 수치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4️⃣ 세상에는 공짜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투자 자산의 수익률은 본인이 투자를 감행하는데 있어서 짊어지어야 할 위험 대비 보상을 요구하는 수익률이므로, 높은 APR을 볼 때는 위험 감내도와 리스크 매니지먼트의 관점에서 포트폴리오와 추가되는 자산의 질과 양에 대한 고찰을 선행하는 것이 어떨까요?
코인으로 경제적 졸업을 꿈꾸는 일갬이의 텔레그램 채널에서는
크립토 최신 뉴스 및 리서치 아티클 요약을 제공합니다.
텔레그램 채널 포스팅 보러가기
포스팅 원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