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C 허진호님의 Medium 글을 요약, 정리한 글입니다.
📋 내용 요약
1️⃣ [L1/L2]
대부분의 L1은 블록체인 트릴레마 중 확장성을 위해 보안성을 희생하는 방식으로 운영하였지만, 확장성의 한계에 부딪힘.
기반 L1의 성능과 관계없이 L2 혹은 sidechain은 필수적이며 ZK rollup에서 fullsmart contract가 지원되면, L1 확장성 문제가 기본적으로 대부분 해결될 것으로 보임.
2️⃣ NFT
NFT는 예술작품/수집품으로 시작하였지만, 향후 온,오프라인 자산 혹은 온라인에서 보여주는 페르소나의 표현으로 진화해 갈 것.
3️⃣ 게임, 메타버스
초기 투자, 사용자 증가에 따른 토큰 가격 상승 및 일부를 pay-out 해주는 현재 형태의 P2E게임 구조는 지속 가능한 경제 구조를 만들기 어려움.
소셜게임 혹은 메타버스 상에서 발생할 3C(커머스, 컨텐츠, 커뮤니티) 서비스 등이 주목받고 있는 키워드임.
4️⃣ DeFi
DeFi는 생태계에서 거래되고 만들어지는 경제적 이익이 크기에 계속 중요한 영역으로 남을 것이고, 기존 금융 서비스 전체가 Web3 기반으로 다시 만들어질 때까지 계속되겠지만, 이것이 큰 사용자 규모로 이어질지는 의문.
5️⃣ dAPP
Web2 서비스를 거치지 않는 'pure Web3 서비스'가 필수적일지는 의문이나, Web2를 거치지 않는 'pure Web3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이 방식의 use case가 보편화 될 가능성이 있음.
6️⃣ DAO
DAO는 새로운 서비스라기보다 보편화된 조직 구성과 운영 원칙 자체에 변화를 주는 새로운 조직 패러다임.
패러다임을 지켜보며 새롭게 등장할 사업, 서비스 모델 등에 대한 준비를 갖추는 것이 필요.
7️⃣ Wallet
단순히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지갑'에서 벗어나 dApp 접근을 위한 메인 UX로서의 역할, 서비스로 확장될 가능성이 높아보임.
코인으로 경제적 졸업을 꿈꾸는 일갬이의 텔레그램 채널에서는
크립토 최신 뉴스 및 리서치 아티클 요약을 제공합니다.
텔레그램 채널 포스팅 보러가기
원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