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angle Digest에 업로드 된 100y님 컨텐츠 요약하였습니다.
📋 TL;DR
📍X2E 모델은 특정 행위를 통해 쉽게 돈을 버는 구조로 인기를 끌었음
📍X2E 모델은 너무나도 쉬운 현금화와 폰지 구조로 무너지기 쉬운 구조임
📍지속 가능한 토크노믹스를 위해 추구하려는 가치가 명확해야 하며, incentivize, 가치의 전가가 필요함
🖋 내용 요약
1️⃣ 무언가 행위(X)를 하면(2) 토큰을 채굴(E)할 수 있는 X2E 프로젝트들은 특정 행위를 통해 누구나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구조로 아주 많은 사용자들의 인기를 끌었음
2️⃣ 토큰은 새로 생긴 개념이 아니며, 프리퀀시나 입장권, 주식이나 포인트 등도 넓은 의미의 토큰이라고 할 수 있음
3️⃣ 블록체인에서의 토큰은 탈중앙 네트워크를 유지하기 위한 경제적 인센티브의 필요에 의해 생겼으며, 블록체인의 데이터 기록에 돈을 지불할 용의가 있는 사용자들에 의해 소비됨
4️⃣ dApp 토큰도 마찬가지로 디앱이 추구하는 목표에 부합하는 행동을 하는 참여자들을 독려하기 위해 토큰을 독려하며, 토크노믹스가 지속 가능하기 위해서는 실제로 특정 사용자가 가치를 창출 했을 때 토큰을 지급해야 함
5️⃣ P2E가 성공하고 지속가능하고 싶다면 메이플스토리와 같이 오래 살아남은 RPG 게임처럼 유저들이 재미라는 가치를 얻기 위해 토큰을 사야함
6️⃣ M2E 또한 토크노믹스에 있어서는 지속 가능하지 못한 설계를 보여주고 있으나, 귀찮아서 하지 않는 운동이라는 행위에 돈을 벌 기회를 제공하는 부분은 긍정적
7️⃣ 토크노믹스가 지속 가능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및 생태계가 추구하려는 가치가 명확해야 하며, 토큰 시스템이 그 가치를 이루기 위한 참여자들의 행위에 적절한 인센티브를 부여해주고 프로젝트나 네트워크 성장의 가치가 토큰의 가치로 전가되어야 함
코인으로 경제적 졸업을 꿈꾸는 일갬이의 텔레그램 채널에서는
크립토 최신 뉴스 및 리서치 아티클 요약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