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angle Original의 Jehn님 아티클을 정리한 글입니다
📋 TL;DR
📍최근 연이은 호재로 이더리움 클래식의 가격이 상승세
📍이더리움 PoS 전환에 따라 기대감이 있지만 불확실성 요소 또한 존재함
📍이더리움 클래식의 가격 상승을 펀더멘털 변화에 따른 유의미한 상승으로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음
🖋 내용 요약
1️⃣ 이더리움 클래식의 가격이 한 주간 급등하게 된 원인에는 비탈릭의 이더리움 클래식에 대한 긍정적인 언급, 채굴기업 앤트풀의 ETC 생태계 $10M 지원 발표 등이 있음
2️⃣ 이더리움 클래식은 2016년 7월, 'The DAO'사태에 대한 대응을 논의하던 가운데, 하드포크를 통해 악의적인 공격에 대한 롤백을 진행하는 것이 블록체인의 불변성이나 탈중앙성을 해친다는 의견을 가진 진영을 중심으로 탄생함
3️⃣ '이더리움 클래식은 현재까지도 약 300개 이상의 노드가 참여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PoW 체인 중 하나로 꼽히지만 낮은 해시레이트로 인한 안정성 문제를 지속적으로 겪어왔음
4️⃣ 생태계 확장을 위한 충분한 수준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해 이더리움 클래식 위에서 운영 중인 디앱의 갯수는 30여 개에 불과하며 이 가운데 유의미한 킬러디앱을 찾아보기는 더욱 어려운 상황
5️⃣ 이더리움의 PoS 전환에 따라 상당수의 채굴자들이 이더리움 클래식을 대안으로 선택하여 네트워크의 안정성이 상승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긴 하지만, 동시에 불확실성 요소 역시 존재함
6️⃣ 이더리움 재단을 포함한 주요 커뮤니티 또한 이더리움 생태계를 최대한 보전하는 방향으로 진행을 지속할 것이기에, 클래식이 이에 비견할만한 성과를 이루어낼 가능성은 매우 제한적이며 펀더멘털 변화에 따른 유의미한 상승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음
코인으로 경제적 졸업을 꿈꾸는 일갬이의 텔레그램 채널에서는
크립토 최신 뉴스 및 리서치 아티클 요약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