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빗 4

[korbit: 이더리움의 저평가 구간 점검]

korbit research 글을 요약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 TL;DR 📍과거 저평가 구간에 대한 분석은 현재 회복에 필요한 요인들을 유추할 수 있음 📍이더리움 저평가 발생에는 매크로 요인보다 이더리움 고유 요인이 더 큰 부분을 차지함 📍저평가 회복을 위해서는 매크로 요인이 중요하지만 이더리움은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며, 고유 요인 중 머지 이슈가 현 저평가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임 🖋 내용 요약 1️⃣ SHAP 분석은 오리지널 모델과 유사하지만 쉽게 만들어진 대체 모델을 만들어 분석하는 것으로 많은 유연성을 제공하고 합리적인 기반을 제공하며 특성에 대한 중요도 비교가 가능해 가상자산 시장 분석에 있어 용이함 2️⃣ 이더리움의 이전 시점 저평가 구간에 대한 SHAP 분석을 통해 과..

카테고리 없음 2022.08.02

[korbit: 크립토 게임에 대한 낙관론과 비관론]

korbit research 글을 요약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 TL;DR 📍크립토 게임은 막대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회의론도 많음 📍비관론자는 지속 불가능한 경제 구조, 높은 실패율 및 제품-시장 적합성의 결여를 핵심 근거로 들고 잇음 📍낙관론자는 총 유효 시장의 규모, 사용자 증가, 매커니즘 설계 개선 잠재력을 핵심 근거로 들고 있음 🖋 내용 요약 1️⃣ 크립토 게임은 한때 디지털 국가로 홍보될 정도였지만, 게임파이 프로젝트들의 침체로 크립토 게임의 미래는 이전 대비 불투명해보이며 비관론과 낙관론이 대립하고 있음 2️⃣ 지속 불가능한 경제와 크립토 게임의 높은 실패율, '수입'의 강조에서 오는 투기 수요는 제품-시장 적합성이 결여되어 있음을 보여줌 3️⃣ 플레이도 어렵고 수입도 어렵기 때문에 ..

카테고리 없음 2022.07.25

[korbit: 2022년 크립토 윈터, 언제까지?]

korbit research 글을 요약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 TL;DR 📍약세장에서도 건재한 가상자산 시장의 펀더멘탈 📍크립토 윈터에서의 회복은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 변화가 관건 📍2022년 크립토 윈터 회복 시기는 올해 4분기로 전망 🖋 내용 요약 1️⃣ 약세장에서도 비트코인 사용자 수는 꾸준히 증가중이며, 네트워크의 해시레이트(블록 생성을 위해 동원되는 연산력) 또한 가격 폭락에도 불구하고 큰 변동이 없음 이는 새로운 실험이 계속 될 수 있는 원동력이 건재하고, 가상자산 업계의 펀더멘탈이 양호함을 뜻함 2️⃣ 첫 크립토 윈터는 2011년 9월이었으며, 각종 해킹 및 기타 부정적인 사건들이 영향을 미쳤고, 2014년 두 번째 크립토 윈터 또한 가상자산 내부 요인에 의해 발생함 하지만 2018년은 ..

카테고리 없음 2022.07.13

[korbit : 블록체인 탈중앙화 측정하기]

korbit Research를 요약 및 정리한 글입니다. 📋 TL;DR 📍탈중앙화 지표를 활용하여 증권성 및 가치 판단의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음 📍측정을 위한 지표로 나카모토 계수와 지니 계수를 함께 사용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이전 대비 탈중앙화가 유의미하게 개선 🖋 내용 요약 1️⃣ 탈중앙화된 솔루션의 장점은 비허가성과 검열 저항성으로 요약됨 반대로 중앙화 된 솔루션에 비해 시간적 비효율성과 통제 대상의 부재 등이 존재함 2️⃣ 탈중앙화는 이분법적인 개념이 아니라, 스펙트럼상에 존재하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단순한 이념이 아닌 네트워크의 성장과 생존의 발판이 되는 경제적 가치를 지닌 특성임 3️⃣ 정량화된 탈중앙화 지표는 증권성 판단 기준 및 투자 가치 판단, 프로젝트의 효율적인 성장을 위한 개발자 ..

카테고리 없음 2022.06.3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