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hereum 3

[이더리움 Merge에 대한 잘못된 오해]

Coinangel님의 미디엄 포스팅 중 일부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 Q&A 1️⃣ 노드를 실행하기 위해선 32 ETH가 필요하다? A : 누구나 스스로 검증된 이더리움 사본을 자유롭게 동기화(노드 실행)할 수 있으며, Merge 이전과 이후 모두 이더는 필요하지 않음 2️⃣ The Merge는 가스비를 낮출 것이다 A : Merge는 합의 매커니즘의 변경일 뿐 네트워크의 용량 확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Merge 자체로 가스비를 낮추지는 않음 3️⃣ The Merge는 트랜잭션을 눈에 띄게 빨라지게 할 것이다 A : 약간의 변화는 있지만 L1에서의 트랜잭션 속도는 거의 같음 4️⃣ Merge 이후에 스테이킹 된 ETH를 인출할 수 있다 A : Merge만으로는 스테이킹 인출을 할 수 없으며, ..

카테고리 없음 2022.08.02

[Xangle: 이더리움클래식, 가격 상승 배경 및 전망]

Xangle Original의 Jehn님 아티클을 정리한 글입니다 📋 TL;DR 📍최근 연이은 호재로 이더리움 클래식의 가격이 상승세 📍이더리움 PoS 전환에 따라 기대감이 있지만 불확실성 요소 또한 존재함 📍이더리움 클래식의 가격 상승을 펀더멘털 변화에 따른 유의미한 상승으로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음 🖋 내용 요약 1️⃣ 이더리움 클래식의 가격이 한 주간 급등하게 된 원인에는 비탈릭의 이더리움 클래식에 대한 긍정적인 언급, 채굴기업 앤트풀의 ETC 생태계 $10M 지원 발표 등이 있음 2️⃣ 이더리움 클래식은 2016년 7월, 'The DAO'사태에 대한 대응을 논의하던 가운데, 하드포크를 통해 악의적인 공격에 대한 롤백을 진행하는 것이 블록체인의 불변성이나 탈중앙성을 해친다는 의견을 가진 진영을 중..

카테고리 없음 2022.08.02

[korbit: 이더리움의 저평가 구간 점검]

korbit research 글을 요약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 TL;DR 📍과거 저평가 구간에 대한 분석은 현재 회복에 필요한 요인들을 유추할 수 있음 📍이더리움 저평가 발생에는 매크로 요인보다 이더리움 고유 요인이 더 큰 부분을 차지함 📍저평가 회복을 위해서는 매크로 요인이 중요하지만 이더리움은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며, 고유 요인 중 머지 이슈가 현 저평가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임 🖋 내용 요약 1️⃣ SHAP 분석은 오리지널 모델과 유사하지만 쉽게 만들어진 대체 모델을 만들어 분석하는 것으로 많은 유연성을 제공하고 합리적인 기반을 제공하며 특성에 대한 중요도 비교가 가능해 가상자산 시장 분석에 있어 용이함 2️⃣ 이더리움의 이전 시점 저평가 구간에 대한 SHAP 분석을 통해 과..

카테고리 없음 2022.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