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0

[SBT의 용처에 대하여]

Jimmy Kim님의 트위터 스레드를 정리한 글입니다. 1️⃣ SBT(SoulBound Token)는 타인에게 이전이 불가능한 형태의 자격 증명 토큰임 2️⃣ 면허 혹은 증명서처럼 거래가 되지 않음으로써 가치가 생기는 사례들에 활용 가능함 SBT의 향우 use case는 모두 이 가치에서 파생되는 것일 확률이 높음 3️⃣ Burn My Wallet은 도난당한 지갑에 대한 Kill Switch의 방안으로 DAO의 투표 취소 혹은 토큰이 다른 지갑으로 전송되는 것을 막는 방식으로 확장 가능 4️⃣ guidlprotocol은 GuildFi와 SBT를 결합한 모델로 길드 참가 요청과 수락의 구조에서 SBT를 활용한 예시로 SBT를 발행할 수 잇는 권한을 가진 SBT를 발행하는 계단식 구조로 사회 시스템 구현 가..

카테고리 없음 2022.07.14

📩 슈퍼블록 뉴스레터 7월 14일 요약

1️⃣ [트위터, 440억 달러 규모의 인수 분쟁으로 일론 머스크 고소] - 트위터는 머스크의 거래 종료 조치가 "무효하고 부당하다"라고 강조하며 440억달러에 플랫폼을 사라고 소송을 제기함 2️⃣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CPI 발표 이후 큰 변동성] -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미국의 소비자 물가 지수 발표와 함께 잠시 급등했다가 폭락함 3️⃣ [셀시우스, 뉴욕에서 챕터 11 파산 신청] - 암호화폐 대출 기관인 셀시우스는 파산법 11장에 따라 파산을 선언 - 11장 파산은 회사가 부채 당사자에 대한 의무를 이행하며 사업을 계속 할 수 있도록 함 4️⃣ [StarkWare, 토큰 출시 공지] - StarkNet은 초기 10B의 토큰을 공급함 - 전체 물량의 33%는 회사와 직원 및 컨설팅, 17%는 투자자..

카테고리 없음 2022.07.14

📩 슈퍼블록 뉴스레터 7월 13일 요약

1️⃣ [GameStop, NFT 마켓플레이스 공개 베타 출시] - GameStop에서 NFT 마켓 플레이스 공개 베타 버전을 출시하였으며, "Web3 게임, 더 많은 제작자 및 기타 이더리움 환경" 지원응ㄹ 위해 더 많은 기능을 추가할 예정 2️⃣ [Uniswap 유동성 공급자, 피싱 공격으로 800만 달러 해킹] - 해커는 가짜 Uniswap 에어드랍 토큰을 미끼로 피해자 지갑의 권한을 가져옴 - 피해자의 800만달러 상당 Uniswap LP를 해제 후 토네이도 캐시를 통해 자금을 세탁함 3️⃣ [애니모카 브랜드, 59억 달러의 사전 자금 평가로 7,500만 달러 모금] - 애니모카 브랜드는 59억 달러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아 7,532만 달러의 자금을 조달함 4️⃣ [플레이보이, 더 샌드박스에서 첫..

카테고리 없음 2022.07.14

[korbit: 2022년 크립토 윈터, 언제까지?]

korbit research 글을 요약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 TL;DR 📍약세장에서도 건재한 가상자산 시장의 펀더멘탈 📍크립토 윈터에서의 회복은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 변화가 관건 📍2022년 크립토 윈터 회복 시기는 올해 4분기로 전망 🖋 내용 요약 1️⃣ 약세장에서도 비트코인 사용자 수는 꾸준히 증가중이며, 네트워크의 해시레이트(블록 생성을 위해 동원되는 연산력) 또한 가격 폭락에도 불구하고 큰 변동이 없음 이는 새로운 실험이 계속 될 수 있는 원동력이 건재하고, 가상자산 업계의 펀더멘탈이 양호함을 뜻함 2️⃣ 첫 크립토 윈터는 2011년 9월이었으며, 각종 해킹 및 기타 부정적인 사건들이 영향을 미쳤고, 2014년 두 번째 크립토 윈터 또한 가상자산 내부 요인에 의해 발생함 하지만 2018년은 ..

카테고리 없음 2022.07.13

[GOPAX: 스테이블코인의 지각변동과 USDC의 약진]

GOPAX 미디엄 글을 요약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 TL;DR 📍USDC는 스테이블 코인 중 가장 제도화되었고 규제 친화적임 📍USDC는 비교적 높은 안정성을 바탕으로 시장에서 더욱 강력한 지위를 획득할 확률이 높음 📍CBDC의 출현 이후에도 지속 가능한 자산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높음 🖋 내용 요약 1️⃣ 지난 5월 UST 디페깅 파동 이후 상대적으로 안전한 스테이블 코인으로 평가받는 서클사의 USDC 공급량과 스테이블코인 시장 점유율은 지속적인 증가세 2️⃣ 일련의 사태 이후 시장에서는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회피와 함께 회계가 상대적으로 불투명한 USDT 대신 가장 제도화된 USDC 선호 심리가 강해졌기 때문 3️⃣ 금융기관이 USDC의 발행자인 CENTRE 컨소시엄의 구성원이 되기 위해서는..

카테고리 없음 2022.07.13

[Uniswap 유동성 공급자, 800만달러 해킹 피해]

스마트 계약 보안 회사인 PeckShield는 유동성 공급자가 실수로 피싱 전술의 희생자가 되었고 해커가 7,500이더(800만 달러) 이상을 훔칠 수 있었다고 Block에 말했습니다. 사건 이전에 해커는 가짜 Uniswap 에어드롭 토큰을 피싱 미끼로 사용하여 피해자를 표적으로 삼았습니다 . 피해자가 토큰을 요구 했을 때 해커는 의도하지 않게 피해자의 지갑에 대한 모든 권한을 부여한 악성 스마트 계약과 상호 작용했습니다. 🖋Comment 출처를 알 수 없는 에어드랍 토큰이나 지갑에 왜 있는지 모르는 토큰은 항상 조심하세요 무료 민팅과 토큰 수령, 에어드롭 등은 꼭 버너지갑으로 진행하시는게 좋겠습니다 https://www.theblock.co/post/157021/uniswap-liquidity-prov..

카테고리 없음 2022.07.13

[Xangle: 셀시우스∙3AC∙블록파이 사태 총정리]

Xangle Original의 KP님 포스팅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TL;DR 📍루나 사태와 가상자산 시장 전반의 급락은 CeFi 업체들에 유동성 위기를 불러옴 📍불투명한 자금 운용과 리스크 관리 소홀로 발생한 이번 사태는 CeFi의 규제 필요성이 대두되는 사태로 보임 📍셀시우스, 3AC, 블록파이 사태는 방만했던 투자와 리스크 관리의 부재가 여실히 드러난 사건으로 기록될 것 🖋 내용 요약 1️⃣ 루나 생태계의 붕괴로 LUNA와 UST에 큰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던 3AC와 셀시우스는 며칠만에 포지션의 99%가 사라짐 이에 영향을 받은 가상자산 시장 전체가 30%이상 급락하며 유동성이 마르고, 디폴트 리스크에 빠짐 2️⃣ LUNA 포지션으로 인한 직접적인 손해도 영향을 미쳤으나, 3AC, 셀시우스,..

카테고리 없음 2022.07.12

[NFT 플랫폼 전쟁] 게임스탑의 참전과 오픈씨의 반격(하)

📍NFT 거래 플랫폼들의 전쟁이 시작됐다 - 유니스왑은 게임 체인저가 될 가능성이 높으며 NFT 거래 플랫폼 간의 전쟁의 서막은 이미 시작됨 📍젬(Gem) 인수한 오픈씨…6월 씨포트 프로토콜(Seaport Protocol) 출시 - 젬 인수가 오픈씨의 방어 전략이었다면 씨포트는 적극적인 공격인 셈 - 올해 4분기쯤 NFT 시장 구도엔 커다란 소용돌이가 불가피할 전망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238237 [NFT 플랫폼 전쟁] 게임스탑의 참전과 오픈씨의 반격(하) | 블록미디어 상편에서 이어집니다. # NFT 거래 플랫폼들의 전쟁이 시작됐다 유니스왑은 게임 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가능성이 높다. 기존 NFT 플랫폼은 밥상을 뺏길 공산이 크다. 애초 ..

카테고리 없음 2022.07.12

[NFT 플랫폼 전쟁] 유니스왑, 오픈씨에 도전하다(상)

📍유니스왑, 6월말 NFT 마켓플레이스 애그리게이터 지니(Genie) 인수 📍#오픈씨, 4월 지니의 주요 경쟁사 젬(Gem) 인수하고 6월엔 탈중앙화 NFT 거래 프로토콜 씨포트(Seaport) 출시 📍게임스톱, 11일 NFT 거래 플랫폼 공식 출시해 전쟁 가세 📍유니스왑 NFT 출시 카운트다운…UNI 토큰 가격 급상승 📍유사한 DNA 가진 유니스왑과 지니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238225 [NFT 플랫폼 전쟁] 유니스왑, 오픈씨에 도전하다(상) | 블록미디어 #유니스왑, 6월말 NFT 마켓플레이스 애그리게이터 지니(Genie) 인수 #오픈씨, 4월 지니의 주요 경쟁사 젬(Gem) 인수하고 6월엔 탈중앙화 NFT 거래 프로토콜 씨포트(Seaport) 출시 #..

카테고리 없음 2022.07.12

[탈중앙화와 DAO에 대한 간단한 생각]

- 플라톤의 직접 민주주의에 대한 비판과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라는 속담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음 📍최근 메이커다오와 같은 탈중앙화 플랫폼에서 거버넌스에 대한 이야기가 많음 📍아무래도 DAO가 가지는 한계를 느끼고 일정 부분 탈중앙성을 포기하면서 문제들을 개선하려는 것으로 보임 📍탈중앙화는 중앙화와 이분법적인 요소가 아니며 하나의 스펙트럼임 📍프로덕트의 성격에 따라서 적절한 스펙트럼 위의 한 지점을 바라보는 것이 중요함 📍프로덕트의 요소들마다 다른 스펙트럼의 지점을 선택할수도 있음 📍많은 NFT 프로젝트의 경우 탈중앙화를 추구해야 하는 "이념"이자 이분법적인 요소로 보는듯함 📍하지만 실제 운영을 뜯어보면 "탈중앙화"는 단순히 커뮤니티의 단합을 위한 보여주기식 "이념"이자 "선동"일 뿐 중앙..

카테고리 없음 2022.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