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0

[Xangle: 온체인 데이터란? 온체인 데이터 보는법부터 뜻까지]

Xangle Original의 쟁글 아카데미 아티클을 정리한 글입니다 📋 TL;DR 📍온체인 데이터란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블록체인 상의 데이터 📍쟁글 애널리틱스에서는 온체인 데이터를 제공 중 📍온체인 데이터는 정보의 비대칭을 완화해 투명한 금융을 실현시키는데 그 의의가 있음 🖋 내용 요약 1️⃣ 온체인 데이터란 블록체인 상에 존재하는 트랜잭션에 대한 기록을 의미하며 누구나 접근할 수 있어, 정보의 투명성이 탈중앙화의 중심 2️⃣ 이더스캔에서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트랜잭션을 보여주지만 모두가 추적하기 어렵기 때문에 누군가 해놓은 분석을 읽는 것으로 온체인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 좋음 3️⃣ 쟁글 애널리틱스는 온체인 데이터 베타 서비스를 출시해 현재 이더리움, 폴리곤, BNB, 클레이..

카테고리 없음 2022.07.29

[유니스왑, 드디어 프로토콜 수익 창출?]

twitter의 100y님 스레드를 정리한 글입니다 📋 TL;DR 📍유니스왑은 거버넌스를 통해 Fee Switch라는 모델을 보수적으로 도입함 📍수수료 일부가 유니스왑 트레저리로 들어가며 LP 수입이 줄어듬 📍Messari 애널리스트들은 LP 이탈 가능성과 프로토콜 수익 생성으로 찬반 논쟁 🖋 내용 요약 1️⃣ 유니스왑은 AMM 기반 DEX로 프로토콜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 수수료가 LP(유동성공급자)들에게 돌아감 2️⃣ 최근 Fee Switch에 관한 거버넌스는 유니스왑에서 발생하는 거래 수수료의 일부를 유니스왑의 트레저리로 이동시킬 수 있음 3️⃣ Fee Switch를 켜게 되면 지금보다 더 UNI 토큰에 가치가 누적될 수 있지만 LP들의 수익이 줄어들어 LP가 이탈할 수 있음 4️⃣ 최근 Fee S..

카테고리 없음 2022.07.29

[Xangle : 클레이튼은 시간이 필요해]

Xangle Original의 KP님 아티클을 정리한 글입니다 📋 TL;DR 📍클레이튼은 2.0으로 변화를 예고했으나, 여러 문제와 홀더의 불만을 겪고 있음 📍클레이튼은 2.0을 시작점으로 단계적 개선의 움직임을 보이는 중 📍'Next Summer'를 위해 파종의 단계를 거치는 클레이튼에게 필요한건 단연코 '시간'일 것 🖋 내용 요약 1️⃣ 클레이튼은 '모두를 위한 메타버스 블록체인'이란 명제 하에 메타버스 패키지, 완결성과 개선사항 추가, 이더리움과의 동일성, 탈중앙화된 거버넌스, 대규모 에코펀드로 구성되는 클레이튼 2.0을 발표함 2️⃣ 2.0 발표에도 불구하고 국내 P2E의 대표격인 위메이드는 자체 메인넷 런칭을 발표하였으며, 핵심 NFT 프로젝트들의 마이그레이션과 함께 클레이튼 NFT 생태계는 더..

카테고리 없음 2022.07.29

[게임하고 운동하면서 돈 버는 'X2E' 지속가능할까?]

Xangle Digest에 업로드 된 100y님 컨텐츠 요약하였습니다. 📋 TL;DR 📍X2E 모델은 특정 행위를 통해 쉽게 돈을 버는 구조로 인기를 끌었음 📍X2E 모델은 너무나도 쉬운 현금화와 폰지 구조로 무너지기 쉬운 구조임 📍지속 가능한 토크노믹스를 위해 추구하려는 가치가 명확해야 하며, incentivize, 가치의 전가가 필요함 🖋 내용 요약 1️⃣ 무언가 행위(X)를 하면(2) 토큰을 채굴(E)할 수 있는 X2E 프로젝트들은 특정 행위를 통해 누구나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구조로 아주 많은 사용자들의 인기를 끌었음 2️⃣ 토큰은 새로 생긴 개념이 아니며, 프리퀀시나 입장권, 주식이나 포인트 등도 넓은 의미의 토큰이라고 할 수 있음 3️⃣ 블록체인에서의 토큰은 탈중앙 네트워크를 유지하기 위한 ..

카테고리 없음 2022.07.29

[L2 토크노믹스]#1: 옵티미스틱 롤업, 플라즈마

100y님의 a41 L2의 토크노믹스 시리즈 Medium 포스팅을 기반으로 요약 및 정리하였습니다. 📋 TL;DR 📍최근 L2의 토큰 출시 및 이벤트로 인해 사용자 관심도가 올라가며 사용량이 증가함 📍L2는 블록 생성자가 중앙화되어도 보안에 문제가 없기에 L1과 토큰의 목적이 다를 수 있음 📍토큰은 관심을 끌어모을 수 있지만 과도한 보상은 독이 될 수 있으며 후발주자가 특별한 무기가 없다면 토큰을 먼저 출시하더라도 관심을 끌기 어려울 것 🖋 내용 요약 1️⃣ 토큰은 참여자들의 자발적 기여를 위한 인센티브, 경제적 보상을 통한 네트워크 효과 달성, 거버넌스를 통한 탈중앙 커뮤니티 구축 등의 역할을 함 2️⃣ L1에서는 토큰이 블록 보상의 형태로 지급되어 위의 역할을 수행하였지만, L2에서 토큰의 역할은 다..

카테고리 없음 2022.07.25

[Polygon 시리즈]#4: Polygon Hermez — 탈중앙 zk롤업 및 zkEVM

100y님의 a41 Polygon 시리즈 Medium 포스팅을 기반으로 요약 및 정리하였습니다. 기술적인 부분들을 최대한 생략하여 작성하였으니, 보다 깊은 이해를 원하시는 분은 원문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TL;DR 📍대다수의 롤업 네트워크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중앙화 문제나, 기술적 장벽으로 EVM 도입의 한계가 있음 📍헤르메즈 1.0은 PoD라는 합의 과정을 통해 최초로 오퍼레이터를 탈중앙화시킨 롤업이며, 2.0에선 이를 더 발전시긴 PoE를 소개함 📍헤르메즈 2.0에서는 바이트코드 단계의 zkEVM을 도입하여 진정한 zk롤업 시대의 지평을 열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함 🖋 내용 요약 1️⃣ 롤업은 이더리움의 확장성을 개선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크게 사기 증명을 사용하는 옵티미스틱 롤업과 유효성 증명..

카테고리 없음 2022.07.25

[Xangle : XCM으로 완성될 폴카닷 인터체인의 미래]

Xangle Original의 TraceØ님 아티클을 정리한 글입니다 📋 TL;DR 📍폴카닷은 크로스 컨센서스 메시징 형식인 XCM을 공개함 📍XCM은 폴카닷 생태계 내의 커뮤니케이션을 돕는 메시징 포맷으로 기존 브릿지 대비 보안성이 뛰어남 📍XCM은 자산 및 기능정 상호 운용성을 제공해주는 포맷으로 사용될 것이며, 폴카닷 생태계 활성도를 높이기 위한 촉매제가 될 것으로 기대 🖋 내용 요약 1️⃣ 폴카닷은 지난 5월 4일 폴카닷 파라체인들 간 지기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하는 기술인 XCM(Cross-Consensus Messaging Format)을 공개했으며, 상호운용 가능한 멀티체인 생태계가 되겠다는 목표에 한발짝 다가섬 2️⃣ XCM이란 폴카닷 생태계 내의 서로 다른 체인간의 자산 이동과 같은 ..

카테고리 없음 2022.07.25

[korbit: 크립토 게임에 대한 낙관론과 비관론]

korbit research 글을 요약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 TL;DR 📍크립토 게임은 막대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회의론도 많음 📍비관론자는 지속 불가능한 경제 구조, 높은 실패율 및 제품-시장 적합성의 결여를 핵심 근거로 들고 잇음 📍낙관론자는 총 유효 시장의 규모, 사용자 증가, 매커니즘 설계 개선 잠재력을 핵심 근거로 들고 있음 🖋 내용 요약 1️⃣ 크립토 게임은 한때 디지털 국가로 홍보될 정도였지만, 게임파이 프로젝트들의 침체로 크립토 게임의 미래는 이전 대비 불투명해보이며 비관론과 낙관론이 대립하고 있음 2️⃣ 지속 불가능한 경제와 크립토 게임의 높은 실패율, '수입'의 강조에서 오는 투기 수요는 제품-시장 적합성이 결여되어 있음을 보여줌 3️⃣ 플레이도 어렵고 수입도 어렵기 때문에 ..

카테고리 없음 2022.07.25

[zkEVM 전쟁의 시작!]

디사이퍼 Hyun Jeong님의 트위터 스레드를 요약하였습니다. 1️⃣ Starkware : zkVM - EVM과 Solitidy 언어는 영지식을 구현하기 좋은 환경이 아니기에 언어부터 영지식 친화적으로 설계하여 자체 VM에서 실행 - EVM설계에 제한받지 않으나 EVM 호환성과 개발 접근성이 떨어짐 2️⃣ Polygon hermez : Custom zkEVM - Solidity를 지원하지만 영지식 친화적으로 설계한 VM에서 코드 실행 - 개발 접근성이 좋으나 완전한 EVM 호환성을 지원하진 않음 3️⃣ Scroll : native zkEVM - Solidity 뿐 아니라 EVM과도 완전한 호환성 - 이더리움의 dApp을 그대로 L2에 마이그레이션 가능 - 영지식 적용을 위해 최적화할 것들이 많음 4️⃣..

카테고리 없음 2022.07.25

[韓 규제 속 '무한돌파삼국지 리버스' 돌파구는?]

Xangle Digest에 업로드 된 SungPil Huh님 컨텐츠 요약하였습니다. 📋 TL;DR 📍2021년 MUDOL이 MUDOL2로 재런칭함 📍노하우를 기반으로 시스템을 개선하여 출시됨 📍해외 사용자들의 높은 관심도가 확인되며 해외 시장의 성과를 지켜볼 시점 🖋 내용 요약 1️⃣ 작년 11월, 국내 최초의 P2E 모바일 게임이었던 무한돌파 삼국지는 대대적 마케팅 캠페인 없이도 플레이스토어와 앱스토어에서 인기순위 1위를 차지하였으나, 게임물관리위원회의 등급분류 허가 결정 취소로 중단됨 2️⃣ 나트리스는 게임 재화와 $MUDOL2 토큰의 교환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게임과 별도로 운영하고 교환소 서비스를 한국 IP에 서비스하지 않는 방식으로 법규를 준수하고 있음 3️⃣ 글로벌 사용자를 고려한 체인 변경..

카테고리 없음 2022.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