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ypto 84

[dYdX의 독자 블록체인이 크립토 산업에 던지는 화두]

a41 100y님의 미디엄 아티클을 정리 및 요약한 글입니다. 📋 TL;DR 📍dYdX는 기존 zk롤업에서 코스모스 SDK를 통한 자체 블록체인 개발 계획 공지 📍위 두 방식은 서로 장단점이 뚜렷하여 우열을 가릴 수 없음 📍개발자들은 실현 목표를 위해 어떤 솔루션을 사용할지 장단점을 살펴보고 진지하게 고민해보아야 함 🖋 내용 요약 1️⃣ dYdX의 파생상품 DEX는 AMM방식을 고수하던 타 DEX들과 달리 ETH L2 솔루션을 활용하여 오더북 방식의 거래를 지원 오더북이 제공하는 확장성 제공을 위해, 코스모스 SDK를 통해 자체 블록체인 구축 발표 2️⃣ 거래에 있어서는 기존과 동일하게 오프체인 방식을 고수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오프 체인에서 체결된 거래의 결과값만 코스모스 SDK로 만들어진 온체인 블..

카테고리 없음 2022.06.30

['앵커 프로토콜', 알고보니 규모 뻥튀기?]

Fatman님의 트위터 스레드를 정리 및 요약하였습니다. 근거로 드는 부분들에 대해 1차적으로 체크해보았으나, 내용에 오류가 있을 경우 @Bezzang으로 회신 부탁드립니다. 📋 TL;DR 📍데이터 상으로 Anchor의 구조는 안정적인 기반이 있다면 흔들리지 않음 📍Anchor의 bLuna 담보 중 가장 큰 두 지갑(TFL과 Hashed)은 실제보다 더 많은 대출자와 스테이커가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함 📍부풀려진 수치는 베테랑의 눈에도 지속 가능하게 보이도록 하였으며, 체인 데이터가 시사하는 것보다 훨씬 지속 가능하지 않고, 안정적이지 않도록 만듬 🖋 내용 요약 1️⃣ Anchor의 19.5% APY는 본드 자산 스테이킹, 대출자, 준비금에서 지급되며, 흑자일 때는 이득분을 준비금에, 적자일 때는 준비금에..

카테고리 없음 2022.06.30

[파생상품 DEX의 현 주소]

DeSpread Medium Earl님의 포스팅을 기반으로 요약 및 정리하였습니다. 📋 TL;DR 📍현물 시장에 비해 파생상품 시장은 DEX가 CEX에 비해 더 뒤쳐지는 상황 📍여러 모델이 있으나 각각의 치명적인 단점이 있음 📍자리와 기회를 잡아가는 과정이며, CEX의 시장 점유율을 계속하여 가져오게 될 것 🖋 내용 요약 1️⃣ 유니스왑을 중심으로 DEX의 위상은 지속적으로 상승해 왔으나, 현물 시장에 비해 거래량이 압도적으로 큰 파생상품 시장의 경우 파생상품 DEX가 아직 경쟁자 CEX에 비해 뒤쳐지고 있음 2️⃣ 파생 DEX는 충분한 유동성과 LP를 위한 높은 거래량, 결합성 및 강력한 UX, 토큰 홀더에게 안정적으로 순이익을 귀속 시켜줄 토크노믹스를 충족해야함 3️⃣ 가상의 유동성 풀을 통해 구동되..

카테고리 없음 2022.06.30

[투자를 위해 알아야 할 토큰 이코노믹스 ③ 수요 편]

GOPAX Medium의 돌비콩님 포스팅을 기반으로 요약 및 정리하였습니다. 📋 TL;DR 📍수요의 원천은 크게 유틸리티, 경제적 가치 발생, 사회문화적 내러티브(밈)가 있음 📍간단하지만 정성적인 부분이 많고, 주관이 개입하여 오류가 발생하기 쉬움 📍지속적인 시행 착오를 통해 수요의 시그널을 파악하는 능력을 길러야 함 🖋 내용 요약 1️⃣ 유틸리티 - 가스비 : 블록체인 이용을 위한 요금이며, 트랜잭션에 토큰을 지불 - 거버넌스 : 여러 안건에 의견을 낼 수 있는 투표권 - 디앱 유틸리티 : 디앱 내의 통화로 여러 기능을 수행 - 스테이블 코인 : 변동성으로부터 보호하며 디앱에서 활용 2️⃣ 경제적 가치 발생 - 거래소 토큰 : 거래 수수료 절감 및 초기 토큰 Allocation 이벤트 참여, 소각을 통..

카테고리 없음 2022.06.30

[Xangle :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통해 바라본 PFP NFT의 미래]

Xangle 다이제스트의 안수빈님 아티클을 요약 및 정리한 글입니다. 📋 TL;DR 📍이모티콘 시장의 성장은 NFT 시장의 성장과 매우 유사함 📍PFP NFT와 함께하는 요소들이 부족한 상황 📍Web3 특화 SNS가 Web3 시장을 먼저 차지할 것 🖋 내용 요약 1️⃣ 카카오톡 이모티콘과 NFT 시장의 성장 - 초기에는 유명 작가 중심으로 시작됨 - 블록체인 결제는 아직 복잡하며, 쉬운 결제 서비스가 필요함 - 대기업 홍보용 NFT와 움직이는 NFT, 컨셉 NFT, 제작을 도와주는 스튜디오 등이 이모티콘 시장과 유사하나 덜 확장됨 2️⃣ 카카오톡과 NFT의 구독형 모델 구독형 모델을 통해 기업은 꾸준한 수익을 얻고, 소비자는 다양한 이모티콘 사용 가능 NFT 유동성 풀을 만들고 빌려주는 형태의 DeFi나..

카테고리 없음 2022.06.30

[Solend SLND1 무효화 및 투표 시간 연장 투표 통과]

SLDN 1 무효화 및 투표 시간 연장 투표가 통과(466,043/1,000,000)되었습니다. SLDN 1 내용 - 메인 풀에서 대출 물량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특정 대형 고래 계좌에 기존 담보 비율보다 높은 증거금 비율인 35% 적용 - Solend 팀이 계정 소유자와 연락이 닿지 않는 경우, Solend Labs는 고래의 계정을 일시적으로 제어하여 시장 혼란을 방지하고 OTC에서 청산을 실행 SLDN 2 내용 - SLDN 1 투표 무효화 - 거버넌스 투표 시간을 1일로 연장 - 계정을 인수할 비상 권한을 포함하지 않는 새로운 제안에 대한 작업 투표 마감 1분을 남겨놓고 466,043표에서 1,480,264표로 통과 되었습니다. 코인으로 경제적 졸업을 꿈꾸는 일갬이의 텔레그램 채널에서는 크립토 최..

카테고리 없음 2022.06.29

[시냅스 (Synapse)에 관해 알아보다]

DeSpread Medium Earl님의 포스팅을 기반으로 요약 및 정리하였습니다. 📋 TL; DR 📍체인 간 자산 이동에서는 브릿지가 필요하나, 서로 다른 인프라와 메시징 기준으로 여러 문제가 존재함 📍시냅스는 크로스 체인 AMM과 xAsset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 📍매력적인 사업 구조이나 유동성 파편화와 $SYN 토큰 인플레 문제 해결 필요 🖋 내용 요약 1️⃣ 왜 브릿지가 필요한가? 다양한 네이티브 체인의 등장으로 각 체인은 유동성을 공수해오기 위해 각자의 거버넌스 토큰을 미끼로 자산을 확보중이며, 시냅스, 웜홀 멀티체인 등 다양한 브릿징 프로토콜이 등장함 체인끼리 서로 다른 인프라와 메시징 기준으로 시간, 유동성, 가스비, 등 다양한 문제가 있음 2️⃣ 시냅스 네트워크 작동 방식 - 크로스 체인 ..

카테고리 없음 2022.06.29

[토크노믹스를 생각하다]

DeSpread Medium Earl님의 포스팅을 기반으로 요약 및 정리하였습니다. 📋 TL; DR 📍암호 화폐의 가치 평가에는 펀더멘탈보다 내러티브가 더 많은 영향을 끼침 📍매수자가 더 많을 이유를 찾기 위해서 토크노믹스와 실제 사용처를 봐야함 📍$SUSHI, $GMX, $JOE 케이스스터디 🖋 내용 요약 1️⃣ 암호화폐의 가치 평가 암호화폐는 시장 상황에 따라 순이익이 크게 요동치며, 토큰 인센티브를 이용하여 매출을 인위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음 또한 토큰의 가치가 수익성 지표가 아닌 내러티브/체인 여부/유저 수/ 트랜잭션 수 등에 의존하여 가치 평가가 곤란함 2️⃣ 토크노믹스와 실제 사용처 토큰 가격 상승에 대한 예측을 위해 토큰 공급 매커니즘, 현재 시총 및 기대 시총, 토큰 거래량 혹은 수수료 수..

카테고리 없음 2022.06.29

클레이튼 관계자, 클레이튼 디파이 생태계와 KLAY TVL 지속적으로 성장중]

📋 TL; DR 📍클레이튼 관계자의 트위터 글 업로드 📍유저들이 잘못된 부분 지적 📍관계자가 반박하며 커뮤니티에서 유저들과 논쟁 🖋내용 요약 1️⃣ 클레이튼 관계자가 트위터에 클레이튼의 디파이 생태계와 KLAY TVL은 한 달만에 거의 50% 증가하였다는 글을 올림 2️⃣ 해당 자료는 클레이튼 TVL을 클레이 가격으로 나눈 수치로, 디파이 생태계 혹은 KLAY TVL의 증가와 무관함 3️⃣ 해당 수치가 증가한 배경은 디파이 TVL에는 스테이블 토큰들과 기타 토큰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KLAY 하락분이 크기 때문 4️⃣ 디파이 생태계 성장 주장을 하려면, 위의 자료가 아니라 디파이 생태계에 KLAY TVL(가치, 수량X)이 증가하는 자료를 근거로 들어야 함 🖊Comment 주장하려는 바는 이해가는..

카테고리 없음 2022.06.29

[Polygon 시리즈]#1: Polygon PoS — Mass Adoption을 향한 여정의 시작

100y님의 a41 Polygon 시리즈 Medium 포스팅을 기반으로 요약 및 정리하였습니다. 📋 TL;DR 📍블록체인 대중화를 위해서는 트릴레마 해결이 필요함. 📍폴리곤은 모듈러 블록체인 진영에서 다양한 프로덕트를 빌딩중. 📍폴리곤 PoS는 디파이 섬머 이후 확장성에 대한 수요 및 시장 상황과 맞물려 폭발적으로 성장. 🖋 내용 요약 1️⃣ 블록체인 트릴레마란 탈중앙성, 보안성, 확장성 중 2개만 충족할 수 있고, 3개를 모두 충족하기엔 매우 어렵다는 블록체인의 난제임. 이더리움은 탈중앙성 및 보안성에 중점을 주어 확장성이 매우 낮지만 확장성을 충족하게 되려면 탈중앙성 혹은 보안성의 큰 희생이 필요함. 2️⃣ 현재 블록체인 트릴레마를 해결하는 방식은 크게 기존 모놀리스틱 블록체인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

카테고리 없음 2022.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