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78

[Market Cap과 FDV, 믿을만해?]

Despread Earl님의 트위터 스레드를 정리한 글입니다. 📋 TL;DR 📍크립토에서 Market Cap과 FDV는 한계가 존재함 📍메사리에서는 "프로토콜을 완전히 사들이기 위하 지불해야 하는 금액"을 "TRUE" 시총이라고 제안함 📍"TRUE" 시총 계산을 위해서는 인센티브, 소각 및 멀티체인 등을 고려해야 함 🖋 내용 요약 1️⃣ 전통 금융의 시가총액은 기업을 완전히 사들이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금액으로 유통 주식 수 * 시장 가격으로 계산되며, 투자를 위한 의사 결정 혹은 투자가 성공할 확률의 정보로 이용됨 2️⃣ 크립토에서의 시가 총액은 토큰 공급량(현재 날짜에 언락 된 토큰 수)와 현재의 토큰 가격을 곱한 수치이나, 토큰 공급량에 대한 정의가 제각각임 또한 재단이나 몇몇의 내부자&투자자가 대..

카테고리 없음 2022.07.08

[투표를 통한 보상 결정, veTokenomics]

Twitter의 Bobo님 스레드를 기반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 TL;DR 📍디파이 거버넌스 토큰은 인플레이션과 용처 부재로 인한 문제를 겪어옴 📍CRV의 풀 에미션을 포함한 ve-model은 CRV WAR를 발생시키며 성공적인 모델로 평가받음 📍veCRV의 파생상품으로 인한 탈중앙성 감소나 기회비용 등의 단점이 존재 🖋 내용 요약 1️⃣ 현재 대다수의 디파이 프로토콜들은 과도한 인플레이션으로 토큰 가치 하락에 의한 사용자 관심도 하락, 단기 이익 정책에만 투표하여 지속 가능성 감소, 프로젝트 진정성을 믿고 장기적으로 홀딩하려는 사람이 적음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음 2️⃣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시도들이 있었고, 현재 가장 성공했다고 평가받는 모델은 커브를 시작으로 도입된 ve-model로..

카테고리 없음 2022.07.07

님이 얘기하는건 슬리피지가 아닌데요?

"슬리피지를 0.5%로 설정하였는데 30%나 손실이 발생했어요!" "거래소 사기꾼들이 제 돈을 가져갔어요!" DeFi 커뮤니티(특히 DEX, DEX 어그리게이터)에서 종종 접하는 질문입니다. 클레이스왑에서 KSD를 oUSDT 코인으로 바꾸는 경우에는 약 22%의 손실이 발생하네요. 슬리피지 설정을 0.5%에 놓으면 위 거래는 승인되지 않는걸까요? 0.5%에 놨는데도 거래가 체결되면 거래소가 저에게 사기를 친 걸까요? 슬리피지와 프라이스 임팩트(PI, 혹은 유동성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빗썸에서 1000개의 위믹스를 시장가 매수하고자 하는 사람은 현재가가 3,377원이지만 살 수 있는 수량(유동성)이 부족하기에 3,388원까지의 물량을 매수하여야 합니다. 현재가는 3,377원이지만 저의 평단은 3,..

카테고리 없음 2022.07.06

[Xangle : P2E게임의 현재와 미래]

Xangle 오리지널의 포뇨님 아티클을 기반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P2E 게임의 현재는 어떤지, 앞으로 그려질 미래와 고려할 부분은 어떤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TL;DR 📍P2E는 작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놀라운 성장세를 보임 📍초기 단계인 만큼 유저 경험 및 규제 등 여러 문제가 보임 📍향후 P2E 게임은 S급 게임을 제작할만한 역량과 노하우가 있는 대기업들이 이끌 가능성이 높을듯 🖋 내용 요약 1️⃣ P2E 게임은 현재 전체 게임 산업 내에서 매우 미미한 비중을 차지하며, 유저 수도 걸음마 수준임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는 지속되며, P2E 시장 진출을 선언하는 대기업들이 등장 중 2️⃣ P2E 게임은 UI/UX 측면의 진입 장벽과 Web2가 장악한 유통 채널, 게임 봇에 의한 생태계 교란 ..

카테고리 없음 2022.07.06

[PoS(Proof of Stake)가 뭐야? 지분증명에 대해 알아보자]

DSRV Research 윤석중님의 아티클을 바탕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 TL;DR 📍작업증명은 과도한 에너지 소비와 전자 폐기물 발생, 경쟁에 따른 집중화로 중앙화 문제를 안고 잇음 📍지분증명은 작업증명의 이러한 문제들을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음 📍위임지분증명은 검증인 수가 한정된 지분증명으로, 중앙화 정도가 높지만 처리 속도는 빠름 🖋 내용 요약 1️⃣ 작업증명(PoW, Proof of Work)을 사용하는 블록체인에서는 코인을 채굴하기 위해 나의 컴퓨터가 어려운 수학 문제를 가장 빨리 풀도록 해야 하며, 이 경쟁이 심화되면서 에너지와 전자기기의 소모량이 과도하게 늘어남 2️⃣ 과도한 에너지 소비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과 GPU, ASIC 칩 등의 전자 폐기물, 경쟁 심화로 인한 고성능 채굴용 칩의 ..

카테고리 없음 2022.07.06

[PoW(Proof of Work)가 뭐야? 작업 증명에 대해 알아보자]

DSRV Research 윤석중님의 아티클을 바탕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 TL;DR 📍특정 블록의 조건을 만족하는 값을 찾는 노가다 과정이 작업 증명에서의 '작업' 📍'작업'은 거래의 순서를 확정짓고 이중지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 📍컴퓨터가 '작업'을 열심히 할수록 채굴의 난이도는 올라가며, 번복될 가능성이 낮아져 네트워크의 보안성이 강화됨 🖋 내용 요약 1️⃣ 채굴자는 자신의 컴퓨터에 임시 블록을 만들고, 유저들의 트랜잭션을 '멤풀'이라는 저장공간에 임시로 저장함 채굴자 보상을 받기 위해서는 이 임시 블록을 네트워크에 전파하고, 모든 채굴자들이 그 채굴자가 제안한 임시 블록을 그들의 컴퓨터에 저장해야함 2️⃣ 특정 채굴자가 임시 블록을 유효한 블록으로 만들고, 블록체인에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블록의 '..

카테고리 없음 2022.07.06

[보이지 않는 혁명? 왜 디파이인가]

korbit 리서치를 통해 디파이의 단기 전망과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자 📋 TL;DR 📍디파이 단기 전망은 부정적이지만, 디파이의 초기 성공으로 소프트웨어가 기존 아날로그 금융 파이프라인을 대체할 것이라는 사실이 분명해짐 📍디파이의 보이지 않는 혁명의 특징은 운영비의 공유, 금융 서비스의 내재화 및 풍부한 시장 유동성 등 거시적, 산업적 변화를 수반함 📍가상자산의 분산성으로 유저들은 국가의 권력을 견제할 수 있으며 실시간 검증이 가능하다는 특성 덕분에 디파이는 국가별 규제 기준을 준수할 수 있음 🖋 내용 요약 1️⃣ 지난 2년간 가상자산 시장 호황의 시작과 끝에는 디파이가 있었음 디파이의 목표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글로벌 경제를 구축하는 것 2️⃣ 최근 주요 스테이블 코인으로 꼽혔..

카테고리 없음 2022.07.01

[Polygon 시리즈]#2: Polygon Avail — 데이터 가용성과 모듈러 블록체인

100y님의 a41 Polygon 시리즈 Medium 포스팅을 기반으로 요약 및 정리하였습니다. 📋 TL;DR 📍플라즈마 체인은 데이터 가용성 문제가 존재, 롤업 솔루션은 확장성 문제로 인해 데이터 가용성 특화 체인의 필요성이 대두됨 📍폴리곤 어베일은 라이트노드들도 블록 검증에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데이터 가용성 전문 블록체인 솔루션 📍합의, 데이터 가용성, 연산을 모듈화를 통해 분리하여 블록체인 트릴레마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됨 🖋 내용 요약 1️⃣ 플라즈마 체인 폴리곤 PoS는 연산을 이더리움이 아닌 오프체인에서 실행하고, 머클트리로 요약한 블록 루트를 온체인에 기록하여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보안에 어느정도 의존할 수 있음 2️⃣ 롤업과 달리 블록의 요약값만 온체인에 저장하기 때문에 플라즈마 네트워크에 ..

카테고리 없음 2022.07.01

[이더리움 가상머신(EVM)의 네트워크 효과]

Jeff Kim님의 트위터 스레드를 정리한 글입니다 📋 TL;DR 📍 EVM은 dAPP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 EVM은 강력한 네트워크 효과를 가짐 📍 개발자 및 경쟁자는 EVM 기반의 이점을 고려하여야 함 🖋 내용 요약 1️⃣ 이더리움 가상머신(EVM)은 개발자가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 소프트웨어임 개발자에게 스마트컨트랙트 기능을 제공한 최초의 소프트웨어 2️⃣ EVM 네트워크 효과가 강력한 이유는 네트워크에 관계없이 모든 사용자가 작성한 코드라인이 EVM 체인들의 가치를 향상시키기 때문 3️⃣ EVM은 선점 우위를 가지며 다른 L1이나 사이드체인에서도 처음부터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보다 EVM을 기반으로 구축하는 것이 유리함 4️⃣ EVM의 ..

카테고리 없음 2022.07.01

[Xangle : 코인의 가격과 가치, 지속가능한 BM]

Xangle Original 로휴님의 글을 요약 및 정리한 글입니다. 📋 TL;DR 📍 대부분 코인은 '네러티브'에 의해 가격 형성 📍 지속가능성을 완벽하게 증명한 모델 X 📍 지속가능한 모델은 있으며 이더리움, DEX, NFT 토큰들은 어느정도 지속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음 🖋 내용 요약 1️⃣ 가격과 가치는 다르다 - 대부분 코인은 가치가 아닌 "네러티브"로 수요 생성 - 네러티브로 생긴 가격은 상승장에는 FOMO를 유발하지만 하락장에는 패닉셀이 발생함 2️⃣ 코인의 Business Model - 대부분의 L1이 블록 스페이스를 판매하나, 현재 수익이 나는 블록체인은 없음 - P2E, DeFi 토큰, 거버넌스 등 유틸리티 판매 토큰 실물 재화를 지급 결재류 토큰($PCI, $MTL 등) 3️⃣ 가치를 ..

카테고리 없음 2022.07.01